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06-09 23:32
본문
Download : 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hwp
Aroson과 Patnoe(1997: 23-25)도 협동학습의 성공을 위한 주요 요소로 ‘개별 책무성’, ‘집단의 목적’, ‘면대면 상호작용’, ‘대인관계 기술’, ‘집단과정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개별 및 집단 책무성’은 모든 구성원이 자신에게 부여된 를 학습하는 동시에 다른 구성원이 학습하는 것을 도와주어야 함을 의미한다.





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찰
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찰
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찰
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찰
.
한편, Slavin(1995: 12-13)은 협동학습의 주요 특징을 ‘집단의 목적’, ‘개별 책무성’, ‘동등한 성공 기회’, ‘팀 경쟁’, ‘과제課題 명세화’, ‘개인 요구에의 適應(적응)’의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개별 책무성’은 Johnson 등의 槪念과 같으며, 개인 점수가 집단의 점수에 영향을 미치는 점수에 의한 책무성과과제課題를 명세화하여 분업함으로써 맡은 과제課題에 대한 책무성으로 나눌 수 있다. ‘긍정적 상호의존성’은 협동학습의 가장 핵심 요소로 다른 구성원이 성취하지 못하면 자신도 성취하지 못하는 관계, 다른 사람의 학습이 자신의 학습에 도움을 주고, 자신의 학습이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관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다섯 가지 기본 요소는 효능적인 협동학습을 위한 필수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Johnson 등(1994: 9-11)도 협동학습에는 ‘긍정적 상호의존성’. ‘개별 및 집단 책무성’, ‘면대면 상호작용’, ‘대인관계 및 소집단 협동기술’, ‘집단과정’의 다섯 가지 기본 요소가 요구된다고 하였다. ‘동등한 성공 기회’란 학업 능력에 관계없이 구성된 집단의 성공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는 것을 뜻한다. ‘대인관계 및 소집단 협동기술’은 집단 구성원들이 리더십, 의사결정력, 신뢰구축 기능, 의사소통 기능, 갈등조정 기능 등을 갖추어야 함을 의미한다.
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찰
다. ‘개인 요구에의 適應(적응)’은 집단적인 교수 과정에 구성원의 개별적인 교수 과정을 결합시킨 것이다.
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찰 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찰 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찰
.
순서
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찰
설명
.
인간의 삶에서 협동은 필수적인 요건이다. ‘과제課題 명세화’는 소집단 내의 각 구성원들이 과제課題를 분담함으로써 모든 학습자들이 협동학습에 참여하게 하는 효능를 가져온다. ‘팀 경쟁’은 소집단간에 경쟁을 도입함으로써 학습동기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협동학습은 집단역동성에 초점을 둔 교수-학습 전략(strategy)으로, 구성원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으로 과제課題를 해결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것은 개인의 성취 결과가 다른 개인과 집단에게 동시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Snowman과 Biehler(2000: 359-360)는 협동학습의 주요
협동학습에 대한 여러 정의(定義)들을 종합하면 성, 능력, 인종 등이 서로 다른 학생들이 소집단을 구성하여 서로 돕고, 책임을 공유하면서 다 같이 학습목표를 달성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요약할 수 있다. ‘면대면 상호작용’은 학습을 도와주고, 나누고, 격려하는 관계를 말하며, 구성원들이 자신이 아는 것을 동료에게 설명하면서 토론하고 가르치는 상호작용을 의미한다. 따라서 팀 구성원들은 서로의 학습과 팀의 성공에 마주향하여 개인별 책임을 지게 되며 집단 보상을 공유하는 태도가 요구된다.
Download : 국문학교육론 - 협동학습에 대한 고.hwp( 37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Putnam(1993)은 협동학습의 특징적 요건으로 긍정적 상호 의존, 개인적 책임, 협동적 기능, 면대면 상호작용, 학생 反應 평가 및 목표 설정, 이질적 집단 편성, 동등한 성공 기회 등을 들고 있다. 그리고 ‘집단과정’은 구성원들이 그들의 목표를 잘 달성할 수 있도록 “어떻게 하면 효능적인 관계를 가질 수 있을까?”를 논의하는 과정이 있어야 함을 말한다. ‘집단의 목적’은 대부분의 협동학습 모형이 어떤 형태로든 가지고 있는 소집단의 공동 목적이다. Johnson과 Johnson(1989)은 협동을 사회의 공기로 비유하면서 공기는 우리가 늘 호흡하면서도 그 중요성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것처럼 협동학습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음을 지적한 바 있다. 협동학습은 전통적 소집단 학습처럼 학급을 단순히 몇 개의 소집단으로 나누어 학습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들간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기능을 배우고 대안적 견해를 공유하거나 이에 도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것은 협동학습의 인지적 또는 정의(定義)적 효능를 나타내게 하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