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선운동량보존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04-27 05:33본문
Download : 선운동량보존.hwp
식 (1)을 입사방향을 x축, 이와 직각방향을 y축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component으로 표시하면
xcomponent : m1v1 = m1v1? cosθ1 + m2v2? cosθ2 (2)
ycomponent : 0 = m1v1? sinθ1 - m2v2?? sinθ2
이다.
3. experiment(실험) 기구
① 2차원충돌장치
② 쇠구슬
③ 수직 추
④ 먹지, 모눈종이, 줄자, 각도기
4. 理論(이론)
정지하고 있는 질량 m2인 입자에 질량 m1인 입자가 속도 v1으로 충돌하면 이 두 입자는 충돌후 그림 1과 같이 운동한다.
이 충돌에서 외력은 0이므로 선운동량은 보존된다된다. 즉,
m1v1 + 0 = m1v1? + m2v2? (1)
이다.
이 충돌에서 외력은 0이므로 선운동량은 보존된다된다. 식 (1)을 입사방향을 x축, 이와 직각방향을 y축으로 하는 좌표계에서 component으로 표시하면
xcomponent : m1v1 = m1v1 cosθ1 + m2v2 cosθ2 (2)
...
1. experiment(실험) title proper(제목)
선운동량보존
2. experiment(실험) 목적
두 개의 당구공을 충돌시켜 충돌 전후의 속력을 측정(measurement)함으로써 충돌 전후의 선운동량을 비교한다.
Download : 선운동량보존.hwp( 63 )
선운동량보존
설명
선운동량보존,기타,실험결과
실험결과/기타
순서
선운동량보존 , 선운동량보존기타실험결과 , 선운동량보존
1. experiment(실험) title proper(제목)
선운동량보존
2. experiment(실험) 목적
두 개의 당구공을 충돌시켜 충돌 전후의 속력을 측정(measurement)함으로써 충돌 전후의 선운동량을 비교한다. 즉,
m1v1 + 0 = m1v1 + m2v2 (1)
이다. 즉,
θ1 + θ1 = (…(To be continued )





선운동량보존
다.
3. experiment(실험) 기구
① 2차원충돌장치
② 쇠구슬
③ 수직 추
④ 먹지, 모눈종이, 줄자, 각도기
4. 理論(이론)
정지하고 있는 질량 m2인 입자에 질량 m1인 입자가 속도 v1으로 충돌하면 이 두 입자는 충돌후 그림 1과 같이 운동한다. 또 이 충돌이 탄성충돌이라면 충돌 전후의 계의 운동에너지가 보존되어야 하므로
m1v12 = m1v1?2 + m2v2?2 (3)
이다.
만약, 입사입자 m1과 표적입자 m2의 질량이 같다면(m1 = m2) 식 (2)는
v12 = v1?2 + v2?2 (4)
이 되어, 충돌 후 두 입자의 진행방향은 직각을 이루게 된다된다.